하일레마리암 데살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일레마리암 데살렌은 에티오피아의 정치인으로, 2012년 멜레스 제나위 총리 사망 이후 총리 대행을 거쳐 정식 총리가 되어 2018년까지 재임했다. 그는 아디스아바바 대학교에서 토목 공학 학사 학위를, 핀란드 탐페레 공과대학교에서 위생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에티오피아 외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인권 문제와 민족 갈등 해결에 실패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2018년 총리직과 집권당 의장직에서 사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총리 - 아비 아머드
에티오피아 최초의 오로모족 총리인 아비 아흐메드는 정치 개혁, 에리트레아와의 관계 개선,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추진했으며 에리트레아와의 평화 협정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내전과 인권 탄압 문제로 비판받기도 하는 정치인이다. - 에티오피아의 총리 - 멜레스 제나위
멜레스 제나위는 에티오피아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1991년부터 2012년 사망 시까지 에티오피아를 통치하며 경제 성장과 민족 연방주의를 이끌었지만, 권위주의적 통치와 인권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 아디스아바바 대학교 동문 - 아비 아머드
에티오피아 최초의 오로모족 총리인 아비 아흐메드는 정치 개혁, 에리트레아와의 관계 개선,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추진했으며 에리트레아와의 평화 협정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내전과 인권 탄압 문제로 비판받기도 하는 정치인이다. - 아디스아바바 대학교 동문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에리트레아의 초대 대통령인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는 독립 전쟁을 이끌고 1993년부터 장기 집권하며 초기에는 칭송받았으나, 독재 체제 강화와 인권 문제로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 남부국민민족인민주 출신 - 셀레몬 바레가
에티오피아의 장거리 육상 선수 셀레몬 바레가는 2016년 세계 U20 육상 선수권 대회 5000m 우승, 2018년 브뤼셀 다이아몬드 리그 5000m U20 세계 기록 경신, 2020 도쿄 올림픽 10,000m 금메달, 2022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0,000m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 남부국민민족인민주 출신 - 벨라이네 덴사모
에티오피아의 전직 육상 선수 벨라이네 덴사모는 마라톤 세계 기록을 경신하고 주요 마라톤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올림픽에도 참가했지만 완주하지 못했고 은퇴 후에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다.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ኀይለማሪያም ደሳለኝ ቦሼ |
로마자 표기 | Hailemariyam Desalegnye Boshe |
출생일 | 1965년 7월 19일 |
출생지 | 볼로소 소레, 남에티오피아 주, 에티오피아 제국 |
종교 | 예수 그리스도 유일신론 오순절교회 |
배우자 | 로만 테스파예 |
자녀 | 소시나 하일레마리암, 요한나 하일레마리암, 비치트 하일레마리암 (3명) |
모교 | 아디스아바바 대학교 아르바 민치 대학교 탐페레 공과대학교 애주사 퍼시픽 대학교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에티오피아 인민 혁명 민주 전선 남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운동 |
주요 직책 | |
에티오피아 총리 | 시작: 2012년 8월 20일 (대행), 2012년 9월 21일 (정식) 종료: 2018년 4월 2일 (사임 및 관리 정부) |
에티오피아 인민 혁명 민주 전선 의장 | 시작: 2012년 9월 16일 종료: 2018년 2월 15일 |
아프리카 연합 의장 | 시작: 2013년 1월 27일 종료: 2014년 1월 30일 |
에티오피아 부총리 겸 외무부 장관 | 시작: 2010년 9월 1일 종료: 2012년 9월 21일 |
남부 제 민족 주 주지사 | 시작: 2001년 11월 12일 종료: 2006년 3월 |
총리 재임 정보 | |
대통령 | 기르마 월데기오르기스 물라투 테쇼메 |
부총리 | 데메케 메코넨 |
전임 총리 | 멜레스 제나위 |
후임 총리 | 아비 아흐메드 |
외무부 장관 후임 | 테드로스 아드하놈 |
부총리 후임 | 데메케 메코넨 데브레치온 게브레미카엘 무크타르 케디르 |
남부 제 민족 주 주지사 후임 | 시페라우 시구테 |
2. 생애 및 교육
하일레마리암 데살렌은 1965년 에티오피아 남부 볼로소 소레 구역 훔바에서 왈라이타 출신으로 태어났다.[6] 가족은 에티오피아 사도 교회에 속한다.[7] 로만 테스파예와 결혼했다.
1988년 아디스아바바 대학교에서 토목 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아르바 민치 수자원 기술 연구소(현재 아르바 민치 대학교)에서 조교로 근무했다. 2년 후 핀란드 탐페레 공과대학교에서 위생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8] 에티오피아로 돌아온 후 13년 동안 수자원 기술 연구소 학장 등 다양한 학술 및 행정 직책을 역임했으며, 2006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아주사 퍼시픽 대학교에서 조직 리더십 석사 학위를 받았다.[9]
2. 1. 초기 생애
하일레마리암은 1965년 에티오피아 남부 볼로소 소레 구역 훔바에서 왈라이타 출신으로 태어났다.[6] 왈라이타족은 남부 민족, 국적 및 인민 지역에서 가장 큰 에티오피아의 민족이다. 그의 가족은 에티오피아 개신교 주류인 삼위일체론 교파(Pentay)가 아닌 하나님교 교파인 에티오피아 사도 교회에 속한다.[7] 그는 로만 테스파예와 결혼했으며, 종교적이고 가정적인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2. 2. 교육
하일레마리암은 1988년 아디스아바바 대학교에서 토목 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아르바 민치 수자원 기술 연구소(현재 아르바 민치 대학교)에서 조교로 일했다. 2년 후, 핀란드 탐페레 공과대학교에서 장학금을 받아 위생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8] 에티오피아로 돌아온 후에는 13년 동안 수자원 기술 연구소 학장 등 다양한 학술 및 행정 직책을 역임했다. 2006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아주사 퍼시픽 대학교에서 조직 리더십 석사 학위를 받았다.[9]3. 정치 경력
하일레마리암 데살렌은 1990년대 후반부터 에티오피아 인민 혁명 민주 전선(EPRDF)의 당원으로서 본격적인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남부 민족, 국적 및 인민 지역(SNNPR)의 부지사를 거쳐 2001년부터 2006년까지 SNNPR의 대통령을 역임했다.[10]
SNNPR 대통령 임기 이후, 하일레마리암은 총리실에서 사회 문제, 시민 단체 및 파트너십 담당 고문으로 2년간 근무하면서, 국제 비정부 기구(NGO)의 활동을 제한하는 법안 초안을 주도했다. 또한 2005년 에티오피아 총선 이후 당 조직 재편을 이끌어 당원 수를 크게 늘리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공로로 2010년, 하일레마리암은 부총리 겸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1]
2012년 메레스 제나위 총리가 사망하자, 하일레마리암은 총리 대행을 거쳐 정식으로 총리직에 올랐다.[35]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아프리카 개발 회의(TICADⅤ) 참가차 일본을 방문하여 아베 신조 총리와 회담을 가졌고, 중국 인민 항일 전쟁·세계 반파시즘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베이징을 방문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3. 1.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 (EPRDF)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 하일레마리암은 에티오피아 인민 혁명 민주 전선(EPRDF)의 당원으로서 정치에 깊이 관여하여 남부 민족, 민족 및 인민주 연합(SNNPR)의 부지사가 되었다. 전임자인 아바테 키쇼는 부패 혐의로 권좌에서 물러났지만, 실제로는 2000년 티그라이 인민 해방 전선(EPRDF의 핵심)이 분열했을 때 아바테가 반멜레스 제나위 진영을 지원했기 때문에 실각했다고 여겨진다. 또한, 그가 좋은 교육을 받지 못했고, 재임 중에 지도력을 발휘하는 일이 거의 없었다는 의견도 널리 공유되었다.
3. 2. 남부 민족, 국적 및 인민 지역 (SNNPR) 대통령
하일레마리암은 2001년 1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남부 민족, 국적 및 인민 지역(SNNPR)의 대통령을 역임했다.[10] 2010년 10월에는 부총리 겸 외무부 장관으로 승진했다.[11] 그는 남부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운동(SEPDM) 의장과 에티오피아 인민 혁명 민주 전선(EPRDF) 부의장을 겸임했다.[12]SNNPR 대통령 임기 이후, 하일레마리암은 총리실에서 사회 문제, 시민 단체 및 파트너십 담당 고문으로 2년간 근무했다. 그는 국제 비정부 기구(NGO)의 지역 정치 활동 개입을 제한하는 자선 및 사회 단체 선언법(CSO법) 초안을 주도했고, 이 법은 2009년 에티오피아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그는 또한 2005년 총선 이후 EPRDF가 '1대 5' 모델 (당원 한 명이 다섯 명의 새로운 사람을 모집)을 통해 조직을 재편하도록 이끌었으며, 이를 통해 당원 수를 2010년 선거까지 40만 명에서 500만 명으로 늘렸다. 이러한 공로로 2010년, 하일레마리암은 부총리 겸 외무부 장관이라는 두 요직에 임명되었다.
3. 3. 에티오피아 총리
메레스 제나위 총리가 2012년 8월 20일에 사망하자, 부총리였던 하일레마리암 데살렌이 총리 대행으로 임명되었다.[35] 9월 21일, 하일레마리암은 정식으로 총리가 되었다.총리 취임 후 2013년 5월부터 6월에 걸쳐 제5회 아프리카 개발 회의(TICADⅤ)에 참가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여, 아베 신조 총리와 회담했다.[36] 2015년 9월에는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 전쟁·세계 반파시즘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식에 참석했다.
2018년 8월, 하일레마리암은 에티오피아에서 과거 제노사이드를 저지르고 짐바브웨로 도망간 전 대통령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과 함께 찍은 사진을 페이스북에 게시하여 논란이 일자 사진을 삭제했다.[42]
3. 3. 1. 임명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총리가 2012년 8월 20일에 사망하자, 부총리였던 하일레마리암이 임시 총리로 임명되었다.[13] 2012년 9월 21일에 정식 총리가 되었다.[35]
마틴 슐츠 유럽 의회 의장은 하일레마리암과의 만남에서 "더 큰 다원주의와 더 자유로운 시민 사회를 허용하고 에티오피아 헌법에 명시된 자유를 옹호하며, 국가의 민주주의를 강화하려는" 그의 의지가 분명하다고 말했다.[14]
3. 3. 2. 에티오피아-소말리아 협력 협정
2014년 2월, 하일레마리암은 아디스아바바에서 압디웰리 셰이크 아메드 소말리아 총리가 이끄는 대표단을 만나 양국 관계 강화에 대해 논의했다.[37] 하일레마리암은 소말리아의 평화 및 안정화를 위한 노력에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을 약속하며, 소말리아 군 강화를 위해 경험 공유 및 훈련을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37] 또한 양국 간 무역 및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37]하일레마리암은 양국 관계가 과거 비생산적인 정책에서 벗어나 상호 안정이 도움이 되는 새로운 시대를 여는 것이라고 평가했다.[37] 아메드 총리는 소말리아의 평화 및 안정화 과정에서 에티오피아가 한 역할과 알 샤바브 무장 단체에 대한 지원에 대해 칭찬했다.[37] 또한 에티오피아 국방군이 AMISOM에 합류하기로 한 결정을 환영했다.[37]
회담은 경찰력 개발, 정보, 항공의 세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하고, 협력 증진을 위한 3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마무리되었다.[37]
3. 3. 3. 경제 정책
하일레마리암 데살렌은 전임자의 사망 이후 에티오피아의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 그는 성장 및 변혁 계획(GTP I)을 완료하고 GTP II를 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아디스아바바 경전철, 길겔 기베 III 댐, 아디스아바바-지부티 철도, 하와사 및 메켈레 산업 단지 등 주요 프로젝트가 완료되었다.[35] 이러한 성과는 에티오피아가 지속적으로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는 데 기여했다.하일레마리암은 케냐와의 245억달러 규모의 람우 항구 남부 수단-에티오피아 운송(LAPSSET) 회랑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에티오피아에 새로운 수출 경로를 제공했다. 또한 지부티와의 15.5억달러 규모의 연료 파이프라인 계약을 체결하여, 550km 길이의 파이프라인 건설을 통해 에티오피아 중부까지 연료를 운송할 수 있게 되었다.[35]
그는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 건설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이어갔으며, 2014년에는 글로벌 신용 평가 기관으로부터 최초의 국가 신용 등급(무디스 B1, 피치와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의 B 등급)을 획득하여 국제 자본 시장 및 외국인 직접 투자의 문을 열었다.[35] 그러나 외국인 투자 자본은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으며, 중국은 도로, 교량, 철도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다.[35]
3. 3. 4. 사임
2018년 2월 14일, 하일레마리암 데살렌은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 총리직과 EPRDF 의장직 사임을 발표했다.[16] 그는 SEPDM과 EPRDF에 사임 서한을 제출했고, 이들은 이를 수락했다.[16] 그의 사임은 에티오피아 역사상 현직 총리로서는 최초의 사임이었다.[17]하일레마리암은 "지속 가능한 평화와 민주주의를 이끌 개혁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이라며 사임 이유를 밝혔다.[16] 이는 2015년에서 2016년 사이 오로미아와 암하라 주에서 정부의 탄압으로 수백 명이 사망한 2014-2016 오로미아 지역의 불안에 대한 책임을 지는 차원이었다.[18][19] 그는 "불안과 정치적 위기로 인해 많은 사상자와 실향민이 발생했다"고 덧붙였다.[20]
당시 에티오피아는 정치적 위기와 긴장이 고조된 상황이었으며, 정부는 긴장 완화를 위해 수천 명의 정치범을 석방하기도 했다.
하일레마리암은 집권 여당인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EPRDF)과 국회가 자신의 사임을 수락하고 아비 아머드를 신임 총리로 선출할 때까지 과도 정부 총리 자격으로 남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2018년 4월 2일, 아비 아머드가 신임 총리로 선출되면서 하일레마리암은 정식으로 퇴임했다.[40][41]
4. 이사회 멤버십
하일레마리암은 국제 위기 그룹,[21] 아프리카 녹색 혁신 연합,[22] 아프리카 안보에 관한 타나 고위급 포럼,[23] 브렌트허스트 재단,[24] IBA 에티오피아 혁신 센터,[25] 에티오피아 화해 위원회[26] 등 여러 국제 기구의 이사회 구성원이다.
5. 논란과 비판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정부 시기에는 인권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특히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오로미아 지역에서 발생한 반정부 시위에서 치안 부대가 강경 진압을 하여, 국제 인권 단체는 500명 이상이 희생되었다고 집계하고 있다.[40][41] 이는 인권 침해라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하일레마리암 정부는 언론을 통제하고 시민 사회 활동을 제한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특히, 자선 및 사회 단체 선언법(CSO법)은 국제 NGO의 활동을 제약하여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2018년 8월, 하일레마리암은 과거 제노사이드를 저지르고 짐바브웨로 도망간 전 대통령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한 사진을 페이스북에 게시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 사진은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삭제되었다.[42]
6. 어록
참조
[1]
뉴스
Hailemariam Desalegn's Biography
http://www.durame.co[...]
2012-09-14
[2]
뉴스
Ethiopia PM in surprise resignation
https://www.bbc.com/[...]
2018-02-15
[3]
뉴스
A Oneness Pentecostal - Making a Difference
https://www.huffpost[...]
2017-01-09
[4]
뉴스
Ethiopia PM Hailemariam Desalegn in surprise resignation
https://www.bbc.com/[...]
2018-02-15
[5]
웹사이트
Ethiopians protesting state of emergency shut down capital, Oromia region - France 24
http://www.france24.[...]
2018-03-06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4-11
[7]
간행물
The New Prime Minister's Faith: A Look at Oneness Pentecostalism in Ethiopia
https://www.research[...]
[8]
문서
http://URN.fi/URN:NB[...]
[9]
웹인용
Hailemariam Desalegn
https://www.weforum.[...]
World Economic Forum
2024-08-19
[10]
웹사이트
Walta information center
http://www.waltainfo[...]
2018-01-03
[11]
Webarchive
Opposition dismiss new 'one party' Ethiopian government
http://www.sudantrib[...]
Sudan Tribune
2010-10-06
[12]
웹사이트
Oromiya, Published 13,10, 2010. (accessed in 13, 09, 2011)
http://bilisummaa.co[...]
Bilisummaa.com
2018-01-03
[13]
뉴스
Ethiopian Prime Minister Meles has died: state television
https://www.reuters.[...]
2012-08-21
[14]
뉴스
Schulz on the meeting with Hailemariam Desalegn, Prime Minister of Ethiopia
http://www.europarl.[...]
2013-04-17
[15]
웹사이트
Ethiopia: The Prime Minister of Somalia On a Visit to Ethiopia
http://allafrica.com[...]
Government of Ethiopia
2014-02-17
[16]
웹사이트
Ethiopia prime minister Hailemariam Desalegn resigns
http://www.aljazeera[...]
2018-02-17
[17]
웹사이트
Four questions about the Ethiopian PM's resignation
http://www.monitor.c[...]
2021-01-25
[18]
뉴스
Ethiopia PM Hailemariam Desalegn in surprise resignation
https://www.bbc.com/[...]
2022-09-19
[19]
웹사이트
Ethiopia's Prime Minister Hailemariam Desalegn resigns
https://www.independ[...]
2022-09-19
[20]
웹사이트
Ethiopia prime minister Hailemariam Desalegn resigns
http://www.aljazeera[...]
2018-02-17
[21]
웹사이트
Crisis Group Welcomes Hailemariam Desalegn and Federica Mogherini to its Board
https://www.crisisgr[...]
2021-02-21
[22]
웹사이트
Our Leadership – AGRA
https://agra.org/who[...]
[23]
웹사이트
ABOUT THE FORUM {{!}} Welcome to the Tana High-Level Forum on Security in Africa
https://tanaforum.or[...]
[24]
웹사이트
Team and Advisors
https://www.thebrent[...]
2021-02-21
[25]
웹사이트
Advisory board members -
https://ibaethiopia.[...]
2019-04-27
[26]
웹사이트
Ethiopia named members of National Reconciliation Commission
https://borkena.com/[...]
2021-02-21
[27]
뉴스
Hailemariam Desalegn's Biography
http://www.durame.co[...]
2012-08-22
[28]
문서
Ethiopia: The Hailemariam Desalegn Factor
http://ecadforum.com[...]
[29]
문서
Hailemariam/Roman Apostolic church of ethiopia
http://kweschn.wordp[...]
[30]
웹사이트
Ethiopia - Who's Who in the New Cabinet?
http://danielberhane[...]
[31]
문서
Walta Information Center Published in Aug 10, 2011 (accessed 13 Sep, 2011)
http://www.waltainfo[...]
[32]
문서
"Opposition dismiss new 'one party' Ethiopian government"
http://www.sudantrib[...]
Sudan Tribune
2010-10-06
[33]
문서
外務省: 藤村官房長官とハイレマリアム・エチオピア副首相兼外務大臣との会談
https://www.mofa.go.[...]
[34]
문서
外務省: 日・エチオピア外相会談
https://www.mofa.go.[...]
[35]
웹사이트
Ethiopian Prime Minister Meles has died: state television
http://www.reuters.c[...]
Reuters
[36]
간행물
外務省: 日・エチオピア首脳会談
https://www.mofa.go.[...]
2013-05-31
[37]
웹사이트
Ethiopia: The Prime Minister of Somalia On a Visit to Ethiopia
http://allafrica.com[...]
Government of Ethiopia
2014-02-17
[38]
웹사이트
中国が旗を振る「エチオピア開発」の光と影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8-06-02
[39]
뉴스
Schulz on the meeting with Hailemariam Desalegn, Prime Minister of Ethiopia
http://www.europarl.[...]
2013-04-17
[40]
뉴스
エチオピア首相が辞意=反政府デモ暴力で引責
https://www.jiji.com[...]
2018-02-15
[41]
뉴스
Ethiopia prime minister Hailemariam Desalegn resigns
http://www.aljazeera[...]
2018-02-15
[42]
뉴스
Why a photo of Mengistu has proved so controversial
https://www.bbc.com/[...]
2018-08-02
[43]
웹사이트
Africa indebted to Mandela: Ethiopia PM
http://www.enc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